| ||||
![]() 묘향산 입구. 향산천 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'보현사' 의 모습. 수려하고도 장엄한 묘향산의 풍광과 매우 잘 어우러진다. ![]() 보현사 입구에서 분홍색 한복을 입은 북측 안내원이 설명을 하고 있다. ![]() '묘향산문화유적' 설명을 듣고 있는 기아대책 사람들. 이날 기아대책 사람들은 모두 별도의 티셔츠를 입었다. ![]() 나무에 씌여 있는 '조국의 나무 한그루도 귀중히 여기자!' 라는 글귀가 이채롭다. 벼락을 맞아 반동이가 된 나무이지만 생명을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. ![]() 해탈문을 지나고 있는 방북단. ![]() 해탈문을 지나면 천왕문이 나온다. ![]() 보현사 대웅전의 모습. ![]() 북한 국보로 지정되어 있는 보현사 8각 13층 석탑. 매우 섬세하고 아름다운 탑이다. 추녀마다 풍경, 북쪽말로 '바람방울'이 104개나 달려있다. ![]() '우리민족서로돕기' 대표중의 한 사람으로 방북한 송월주 스님이 보현사를 방문한 소감을 말하고 있다. ![]() 보현사비. 북한 '국보유적 제 144호'로 지정되어 있다. ![]() 팔만대장경보존고. 1984년에 세워졌으며, 고려 중순 팔만대장경 목판으로 처음 인쇄한 불경 수 만 권이 보관되어 있다. ![]() 산뽕나무. 절내에서 가장 눈에 띄는 나무였다. 사진으로 보는 것보다 실제 모습은 훨씬 더 크고 웅장하다. ![]() 묘향산 산뽕나무 비석. 400년 된 나무로 보호를 받고 있다. ![]() 열심히 설명하는 북측 안내원 리남옥님. 보현사에서만 20년 넘게 안내를 해오고 있다고 했다. 서까래를 덧이어 놓은 건축 양식을 가리키며 부연(婦椽) 이라는 단어의 유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. ![]() 리남옥님이 백리향을 소개하고는 풀잎 하나를 따고 있다. ![]() 따 낸 백리향 이파리를 고도원 이사장의 코에 대주고 있는 리남옥님. ![]() 백리향등 묘향산에서 자라는 희귀 식물들을 안내하는 표지판. ![]() 한반도의 모양을 본 따 다듬어진 나무를 사이에 두고 '남남북녀'가 손을 잡고 웃고 있다. ![]() 우리의 소원은 통일. 나무 그늘 아래 모여 남북이 손을 잡고 '우리의 소원은 통일'을 목청껏 부르고 있다. ![]() 녹음이 우거진 6월, 보현사의 뜰에도 초록이 가득했다. | ||||
| ||||
![]() 버스를 타기 위해 줄 서 있는 여학생들. 운전석 거울에 사진을 촬영하고 있는 윤나라실장의 모습도 보인다. ![]() 평양의 거리 풍경. 왼쪽으로 전기로 가는 버스와 트럭, 오토바이 등이 눈에 띈다. ![]() 화단을 정리하고 있는 학생들. 6.15 행사를 앞두고 있어서인지 거리 곳곳에서 길을 단장하는 모습이 자주 목격되었다. ![]() 붉은 선전판의 강렬한 문구와 화단을 정리하는 아이들의 모습이 대조를 이룬다. ![]() 김일성광장에서 집단체조를 연습하고 있는 학생들. 멀리 보이는 높은 탑이 '주체탑'이다. ![]() 정면으로 보이는 건물이 평양역. 왼쪽 아래 흰색 제복의 여성이 교통정리를 하고 있다. ![]() 평양의 '개선문'. 한쪽에는 1925, 다른 한쪽에는 1945라는 숫자가 적혀 있는데 이는 김일성 전주석의 독립운동을 기념한 것이라 한다. ![]() 개선문 바로 옆에 있는 평양지하철 '개선역'. 바로 앞에 학생들이 많이 모여 있고, 길가 정류장에는 시민들이 벤치에 앉아 버스를 기다리고 있다. ![]() '고려호텔'의 영문 현판. 평양에서 가장 오래된 '특급 호텔'이다. ![]() 호텔입구에 전시되어 있는 '로동신문'. ![]() 고려호텔내의 '식사칸'. ![]() '식사칸' 식탁에 앉아 '평양 불고기'로 저녁식사를 시작하려 하고 있다. ![]() 평양 특유의 김치. 맛이 일품이었다. ![]() '평양 불고기'가 맛있게 구워지고 있다. ![]() '들쭉음료'라는 이름의 과일 주스. 그 뒤로 보이는 병은 '룡성사이다'이고 이외에도 '배단물' 이라 불리는 배즙 음료가 북한에서 자주 마시는 음료수이다. ![]() 한복을 곱게 차려 입은 식당 여종업원들과 함께. |
출처: 아침편지(강추)
'세상과 삶 > 북한 한민족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빛으로 소금으로―세상을 바꾸는 크리스천 여성] 초기 기독교를 이끈 사람들 (0) | 2009.01.14 |
---|---|
옥류관외 북한 스케치 (0) | 2009.01.14 |
북한을 가다. (0) | 2009.01.14 |
北김정일, 2012년 목표 '경제 전면전' 준비"<조선신보>, 제발 그렇게 되라, (0) | 2009.01.02 |
한국인 디아스포라의 재발견―⑤러시아 우수리스크] ‘슬픈 역사’ 품고 힘겨운 삶 (0) | 2009.01.01 |